2024년 이란 이스라엘 중동전쟁 발발 가능성 이유

이란-이스라엘 공격 타임테이블
photo of a city at night
Photo by Kamran Gholami on Pexels.com

이란 이스라엘의 갈등의 배경을 알아보고, 이스라엘과 미국이 왜 동맹관계에 있는지, 이란은 왜 미국 등 서방국가를 적대시하는지 등에 대해 알아본다.

이란 이스라엘 갈등 배경

이란은 이스라엘에 대해 팔레스타인 문제와 관련된 점령국으로 간주하고 적대적인 입장을 취하고 있다. 이란은 팔레스타인 민족의 자결권을 주장하며 이스라엘의 점령과 정책을 반대하는데, 하마스와 이슬라믹 지하드 같은 무장 단체도 지원하고 있다.

또 이란은 이슬람 시아파 국가로, 이스라엘의 존재를 신념적으로 부정하는 경향이 있다. 이란의 이슬람 혁명 이후, 이스라엘을 ‘적’으로 간주하는 이념이 강화됐다.

시아파는 이슬람교의 두 분파 중하나다. 시아파는 무함마드의 사촌이자 사위인 알리 이븐 아비 탈리브(Ali ibn Abi Talib)와 그의 직계 후손이 이슬람 공동체를 이끌어야 한다고 믿는 반면, 수니파는 이슬람 공동체의 합의에 따라 지도자를 선택해야 한다고 본다.

이란과 이스라엘이 갈라서게 된 역사적 배경에는 ‘이란의 이슬람 혁명’이 있다. 1979년 이란 이슬람 혁명 이후, 이란은 반서방 성향을 강화하며 이스라엘과의 관계가 악화됐다. 이란은 특히 미국과의 관계가 악화됐고, 이스라엘을 서방의 지배와 군사적 기지로 인식하게 됐다. 이란은 이스라엘을 서방 제국주의의 연장선으로 보는 경향이 있다. 시아파와 수니파는 신앙에서 공통점이 있지만, 역사적, 정치적 차이로 인해 갈등을 겪는 것으로 나온다.

이란의 핵 개발 프로그램은 이스라엘에 큰 위협으로 인식되며, 이란이 핵무기를 개발할 경우 이스라엘은 생존이 위협받는다고 느낀다. 이란은 현재 핵무기를 보유하지 않고 있지만, 핵 개발 프로그램을 진행해왔고, 이란의 핵 개발이 군사적 방향으로 진행될 수 있다는 우려가 여전히 존재한다.

이란은 레바논의 헤즈볼라와 같은 무장 단체를 지원하며 이스라엘에 대한 공격을 감행한다. 이란은 헤즈볼라를 통해 이스라엘에 대한 저항을 강화하고, 시아파의 위상을 높이고자 한다.

soldier holding rifle
Photo by Pixabay on Pexels.com

이스라엘과 미국의 동맹 관계

이스라엘과 미국의 동맹 관계는 20세기 중반부터 형성되기 시작했으며, 몇 가지 중요한 사건이 이 관계를 강화하는 데 기여했다. 이스라엘이 1948년 5월에 독립을 선언하자 미국은 곧바로 이스라엘을 공식적으로 인정했다. 이는 두 나라 간의 외교관계의 시작점이 됐다고 볼 수 있다.

1960년대에 들어서면서 미국은 이스라엘에 대한 군사 지원을 확대했다. 특히, 1967년 6일 전쟁(제3차 중동 전쟁) 이후 미국은 이스라엘의 주요 무기 공급국으로 자리 잡았다.

1973년 욤 키푸르 전쟁 이후, 미국은 이스라엘에 대한 군사 지원을 대폭 증가시켰고, 이는 두 나라의 동맹 관계를 더욱 공고히 했다. 이 시기에 미국은 이스라엘에 대한 경제적, 군사적 지원을 약속했다.

참고로, 욤 키푸르 전쟁(Yom Kippur War)은 1973년 10월 6일부터 10월 25일까지 이스라엘과 아랍 국가들, 주로 이집트와 시리아 간에 벌어진 전쟁이다. 이 전쟁은 이스라엘의 예배일인 욤 키푸르(유대교의 대속죄일)에 시작됐고, 이란-이라크 전쟁의 한가운데에서 중동의 정치적 갈등을 심화시켰다.

이 전쟁 이전의 1967년 전쟁에서 이스라엘은 이집트, 시리아, 요르단 등 아랍 국가들로부터 많은 영토를 점령했다. 이란은 이 전쟁으로 인해 아랍 국가들의 반이스라엘 감정이 높아졌다. 이집트와 시리아는 이스라엘의 점령지 반환을 목표로 전쟁을 준비하고 있었고, 이러한 상황에서 전쟁이 발발하게 되었다.

전쟁은 이스라엘의 욤 키푸르 기도를 위해 많은 군인이 휴가 중인 상황에서 시작되었다. 이집트와 시리아는 동시다발적으로 이스라엘의 국경을 넘어 공격을 감행했다. 이집트는 수에즈 운하를 넘어 깊숙이 진입했고, 시리아는 골란 고원을 공격하여 일시적으로 이스라엘 군을 밀어냈다. 이스라엘 군은 초기의 혼란 속에서 빠르게 재편성하고 반격을 시작했다. 특히 이스라엘의 군사 전략과 공중전의 우위를 통해 전세를 역전시켰다.

전투가 계속되면서 이스라엘은 이집트와 시리아의 공격을 저지하고, 다시 영토를 회복했다. 전쟁 후 이스라엘과 아랍 국가 간의 평화 협상으로 이어졌다. 1979년에는 이집트와 이스라엘 간의 평화 조약이 체결되었다. 이란은 아랍 국가들 간의 통합된 군사적 대응을 촉발하는 계기가 되기도 했다.

1980년대에는 이스라엘과 미국 간의 전략적 파트너십이 더욱 강화되었다. 이란-이라크 전쟁 등의 지역적 불안정성이 두 나라 간의 협력을 더욱 촉진했다.

1990년대와 2000년대에도 이스라엘과 미국의 동맹은 계속해서 강화되었다. 특히, 테러와의 전쟁 이후 중동에서의 이스라엘의 역할이 강조되면서 미국의 지원이 더욱 중요해졌다.

white concrete building
Photo by Haley Black on Pexels.com

이란의 이슬람혁명이란? 미국을 적대시하는 이유?

이란의 이슬람 혁명은 1979년에 일어난 역사적인 사건으로, 이란의 정치 체제를 급격히 변화시켰다. 이 혁명은 샤(왕) 모하마드 레자 샤 팔라비의 통치에 대한 반발로 시작됐고, 이란을 이슬람 공화국으로 전환시키는 계기가 됐다.

샤의 통치 아래 이란은 정치적 억압과 인권 침해가 심각했으며, 서방(특히 미국)과의 밀접한 관계가 많은 반발을 일으켰다. 경제 성장에도 불구하고 부의 불균형과 사회적 불만이 커지면서 다양한 계층의 사람들이 샤 정부에 반대하게 됐다.

1978년부터 대규모 시위가 발생하기 시작했으며, 이란의 여러 사회 계층이 참여했다. 특히, 이슬람 성직자와 학생들이 주도적인 역할을 했다.

이란의 혁명 지도자인 아야톨라 루홀라 호메이니는 프랑스에 망명 중에도 여론을 형성하며 대중의 지지를 받았다. 그는 샤 정권에 대한 비판과 이슬람 국가 수립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1979년 1월, 샤가 이란을 떠나면서 혁명이 본격화되었다. 2월에는 호메이니가 이란에 돌아와 혁명을 완성했다. 이슬람 공화국 수립: 1979년 4월 이란은 이슬람 공화국으로 선언되었고, 이란 헌법이 제정되었다. 새로운 정부는 종교 지도자들에 의해 운영되며, 샤 정권의 기존 체제가 해체되었다.

이후 이란은 이슬람 법률(샤리아)을 바탕으로 한 정치 체제로 전환되었고, 이란의 최고 지도자가 국가의 최고 권력을 갖게 되었다. 혁명 이후 미국과의 관계가 악화되었고, 이란 미국 대사관 인질 사건(1979) 등으로 인해 양국 간의 갈등이 심화되었다. 이란 내부에서도 여러 가지 정치적 갈등과 탄압이 이어졌으며, 특히 반대 세력에 대한 박해가 두드러졌다.

이란 이스라엘의 공격?

이란 이슬람 혁명이 성공한 후, 이란의 새 정부는 내부의 정치적 안정과 정권 강화를 위해 외부의 적을 필요로 했다. 반면, 이라크의 사담 후세인 정부는 이란의 혼란을 이용해 영토 확장을 시도하고자 했다.

1980년 9월, 이라크가 이란의 국경을 넘어 공격하면서 전쟁이 시작되었다. 이는 이란 정부의 정통성과 이슬람 혁명의 가치에 대한 도전으로 간주되었다. 전쟁 초기에는 이라크가 유리한 고지를 점령했으나, 이란은 반격에 나섰고 전투가 장기화되면서 막대한 인명 피해와 경제적 손실을 초래했다.

양측 모두 치명적인 타격을 입었다. 이란-이라크 전쟁은 약 8년간 지속됐고, 수백만 명의 사망자와 수십만 명의 부상자를 초래했다. 전쟁은 이란 정부의 정통성을 강화하는 계기가 되었고, 이란의 국가 정체성은 더욱 이슬람 중심으로 변화하게 되었다. 또 전쟁 후 이란은 지역 내 강력한 군사력으로 자리 잡게 됐다.


보틀브레이커에서 더 알아보기

구독을 신청하면 최신 게시물을 이메일로 받아볼 수 있습니다.

Leave a Comment